401K 등 은퇴계좌 불입, 은퇴후 살 곳·할 일 결정···소셜연금 3개월전 신청
▶노후자금은 은퇴 10년전부터 준비하되 관리가 중요하다.
절약 방법을 최대한 활용하고 인터넷 등을 통해 정보를 얻어 효율적으로 운용해야 한다
은퇴전…단계별 체크리스트
은퇴가 10년 남았다면 무엇을 해야할까. 많은 한인들이 고심하고 있는 문제에 MSN머니가 답을 던졌다. ‘은퇴 10년전-단계별 체크리스트’다.
◇ 은퇴 10년전
▶살 곳을 정하라-은퇴뒤엔 한적하면서도 편안한 지역에서 생활하는 것이 좋다. 도심에서 벗어나면 당연히 주택가격이 싸다. 잘만 하면 현재 살고 있는 집의 3분의 2 가격으로도 얼마든지 은퇴용 주택을 구입할 수 있다.
▶할일을 정하라-은퇴생활은 좀더 여유롭고 넉넉한 시간을 즐기는 것이지만 아무 것도 하지 않고 놀며 보낼 수는 없다. 평소 해보고 싶었던 일을 하면 최상. 시간제 파트타임 일이라도 무방하다. 일을 안하면 빨리 늙는다.
▶자금을 마련하라-401K IRA 등 은퇴계좌에 최대한으로 돈을 부어야 한다. 한도까지 넣을 수 있으면 가장 좋다.
◇ 은퇴 5년전
▶위험을 줄여라-고수익을 노리고 사둔 주식이나 고수익 펀드 등을 던지고 새로운 포트폴리오 구상에 착수할 시기다. 은퇴에 가까울 수록 수익은 다소 낮더라도 안정적인 수입이 있는 투자처가 제일이다.
▶새 소득을 찾아라-매달 얼마의 돈이 들어오느냐에 따라 노후생활은 천양지차로 달라진다. 소셜시큐리티 각종 연금 투자소득 등 은퇴 뒤 매달 들어올 수입을 예상해둔다.
▶의료보험 다시 짜라-65세 이상은 메디케어의 혜택을 받아 거의 돈이 들지 않는다. 하지만 롱텀 케어는 개인의 몫. 현재 가입하고 있는 의료보험을 재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 은퇴 2년전
▶재정계획 점검하라-이미 짜둔 은퇴 재정계획을 꼼꼼히 다시 확인한다. 예컨대 자금이 여전히 부족하다면 은퇴를 한 두해 미루는 경우도 생긴다.
▶소셜 시큐리티 확인하라-소셜 시큐리티 연금은 수혜자가 일한 기간중 최고급여를 받은 시기를 기준으로 신청할 수 있다. 일한 기간동안 매년 세금보고 자료를 뒤져 정확한 급여액수를 산출해본다.
▶살 곳을 방문하라-은퇴생활을 하기로 마음먹은 지역을 계절별로 방문해보는 게 필요하다. 계절별 시기별로 생활환경이 큰 차이는 없는지를 확인한다.
◇ 은퇴 1년전
▶석달전에 신청하라-우선 소셜시큐리티는 첫 체크를 받기 3개월전에 신청해야 한다. 물론 62세가 돼야 한다. 또 메디케어는 65세 생일 3개월전에 신청해야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은퇴 홈 준비하라-새로운 곳으로 간다면 집부터 구하는게 급선무다. 은퇴 1년전에 사두는게 최적기. 까딱 때를 놓치면 몇달을 허송할 수도 있다.
은퇴후…노후자금 운용비법
안락한 노후생활은 크든 적든 만들어 놓은 은퇴자금을 어떻게 쓰느냐에 달려있다. 뱅크레이트닷컴이 꼽은 알토란 같은 ‘노후자금 운용 비법 8’을 소개한다.
▶렌트 활용- 은퇴하자마자 이것저것 구매를 서두는 사람이 많다. 외곽의 호젓한 주택 여행을 위한 RV 등 오래전부터 꿈꿔온 편안하고 풍족한 은퇴생활을 위한 것들이다. 하지만 덜컥 사기 전에 다시한번 생각해보길. 뭉텅뭉텅 목돈을 써버리면 후회할 일이 생길지도 모른다. 사는 것보다는 렌트하는게 차라리 낫다.
▶재정계획 수립-대부분의 은퇴자들은 '돈이 다 떨어지는 것'을 가장 두려워한다. 따라서 가진 돈을 놓고 차분히 계획을 세워놓는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현재의 재산상태와 고정수입과 지출 비용절약법 등에 대해 효과적인 계획을 만들어보는 것이다.
예컨대 연금계좌에 목돈이 있다면 매달 인출한도를 정하는 일 또 일정액의 저축을 좀더 이자나 수익률이 좋은 곳으로 옮기는 일 등 따져봐야할 게 많다. 이때 혼자 골머리를 앓기보다는 재정전문가의 도움을 받는게 좋다.
▶생명보험 재조정-예전 경제활동이 왕성할때 들어놓은 생명보험은 은퇴하자마자 플랜을 재조정하는 것이 좋다. 줄어든 수입을 감안해 보험료 수익자 등 관련 부분을 바꿀 수 있다.
▶이자수입 올리기- 은퇴자금을 은행에 별 생각없이 묻어두는 경우가 허다하다. 은행 외에 각 금융기관 상품들의 이자수익률을 비교해 가장 높은 곳에 예치해 놓는 것이 중요하다. 모든 금융이자율은 www.bankrate.com에서 한눈에 볼 수있다. 하지만 너무 오래 묶여있는 상품은 환금성이 떨어지므로 신중히 선택할 것.
▶수수료 삭감-은행이나 펀드 등에는 숨은 수수료가 많다. 은퇴자들에게 각종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는 금융기관은 얼마든지 있다.
▶파트타임 노동- 적은 돈이라도 벌 수 있다면 그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비단 경제적인 문제뿐 아니라 건강관리에도 바람직하다. 단 주의할 것은 연간 수입이 1만1640달러를 넘으면 소셜 시큐리티 연금이 삭감된다는 것. 상한선을 초과하면 매 2달러당 1달러씩 줄어든다.
▶절세 투자-은퇴자금을 투자수익으로 충당하려는 사람들이 꽤 있다. 일단 수익률보다는 안정성이 뛰어난 상품을 고르는게 좋다. 절세효과가 큰 상품을 선택하면 금상첨화.
▶사기 조심-노인들만 노리는 사기범들이 꽤 있다. 물품 위장 판매에서부터 여행사기까지 다양하다. 쓸데없이 돈을 뜯기는 것은 치명상이다.
'지식과 상식. > 은퇴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FERS 계산법 (0) | 2014.11.29 |
---|---|
CSRS 와 FERS 차이점 (0) | 2014.11.29 |
2013년부터 한미 양국에서 연금 수령가능.(펌글) (0) | 2014.11.10 |
이민을 계획하던 분과 지인의 이메일 내용. (0) | 2014.11.03 |
역이민의 기로 (0) | 2014.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