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이민(혹은 2차 이민)고려
2000 년대 들어 한국이 비약적 발전을 이루면서 역이민 추세도 늘고 있다. 외통부가 지난 2010년 발표한 자료를 봐도 2009년 미국으로의 이주자는 599명으로 전년(1034명)에 비해 무려 42% 줄었다. 이와 반대로 한국으로 역이민간 경우는 2015명으로 4배 이상 많았다. 당시는 미국의 경기침체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됐지만 역이민을 고려하는 한인들이 늘고 있는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이번 조사에서도 그런 트렌드가 확인됐다. 39.4%가 '역이민을 고려한 적이 있다'고 대답했다. 7년 전 조사 때에 비해 역이민 고려 비율이 11.4%P 늘었다. 역이민 생각은 남자(42.1%)가 여자(35.7%)보다 많았다. 연령대 별로는 40대에서 46.8%로 가장 높았다. 직업별로는 이민생활 만족도가 낮은 생산 및 기능직(47.4%)에서, 또 거주기간별로는 유학이나 지상사근무 등으로 미국에 온 후 영주권 취득이 쉽지 않은 5년 미만을 제외하면 5~10년 사이(49.3%)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역이민을 희망하는 국가로는 한국이 71.2%로 가장 많았으며 캐나다(10.6%), 유럽(9.2%), 중국(1.7%)을 선호했다. 역이민국으로 한국을 선택한데는 남녀구별이 거의 없었다. 남자의 71%, 여자의 71.5%가 한국을 택했다. 다른 인구특성(연령, 직업, 거주기간)별로도 한국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하지만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20대 이하는 유럽과 캐나다(21.8%씩), 학생은 캐나다(35.9%), 판매 및 서비스업 종사자는 중국(4.2%)을 상대적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역이민 고려 이유
역이민을 생각하는 이유로는 경제적 문제(30.4%)가 가장 컸다. 그 다음으로는 문화적 차이(27.3%), 언어장벽(17%)이 중요 이유로 꼽혔다.
이같은 이유는 남녀가 공히 비슷했다. 남자는 경제적 문제가 31%, 문화적 차이 29.7%, 언어장벽 13.9%였으며, 여자는 29.4%, 23.3%, 22.2%순으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연령대별 특성으로 봤을 때는 50대의 경우 문화적 이유(31.5%)가 더 컸으며, 60대 이상은 전 연령대에서 언어장벽에 대한 역이민 고려 비중이 가장 높았다.
역 이민을 고려하는 이유에 있어서는 2006년 조사 때와 비교해 변화가 생겼다. 당시 가장 큰 이유는 문화적 차이였다. 문화적 차이가 32.3%로 가장 높았고, 경제적인 이유(17%), 언어장벽(11%) 순이었다. 7년 사이에 문화적 이질감보다는 '먹고 사는 문제'가 더 큰 이슈로 등장한 셈이다. 대공황 이후 최악의 경기침체로 미국의 경기회복이 여전히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는 방증으로도 보인다.
하지만 같은 조사에서 이민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57.1%나 됐던 것을 감안할 때 역이민을 고려하는 배경이 경제적 문제라고 하면 얼핏 부합하지 않아 보이기도 한다. 이에 대해서는 한국의 경제발전이 더욱 크게 부각됐을 것이란 분석이다. 또한, 이민생활의 만족도가 경제적인 요소 말고도 자녀교육이나 생활환경 측면도 고려해야 할 사안이라고 보면 조금 달리 이해될 수 있기도 하다.
◆신앙생활
종교는 기독교가 52.9%(가톨릭 11.8%)로 가장 많았다. 2006년 조사 때 기독교가 79%(가톨릭 15%)를 보인 것에 비하면 많이 줄었지만 기독교를 중심으로 한 신앙생활의 근간은 여전한 것으로 파악된다. 퓨리서치센터가 2012년 국토안보부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것도 합법 이민자의 61%가 기독교인으로 나타나, 기독교가 한인사회뿐만 아니라 타 커뮤니티의 이민생활에서도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7년 전 조사와 비교해 무응답이 33.6%나 됐고, 개신교를 비롯해 가톨릭, 불교 신도가 모두 줄어든 것으로 볼 때 신앙생활에 변화가 생기고 있음도 감지된다.
연령대별로는 30대(46.3%), 직업별로는 자영업자(46.8%)의 개신교 믿음이 가장 컸다. 무교자는 판매 및 서비스 업종(13.7%)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밖에 이민생활 전반을 아우르는 항목으로 인종갈등 여부와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한 물음이 있었다.
이에 대해 40.6%는 '인종갈등이 존재한다'고 답했으며, 해결주체로는 개인(36.2%)이 연방정부(27.2%)나 지방정부(24.1%)에 앞서 나서야 할 것이라는 태도를 보였다. 인종차별 느낌은 50대 이상으로 갈수록 줄었으며, 직업별로는 학생이나 생산 및 기능직의 50% 정도가 존재한다고 밝혔다.
김문호 기자
'지식과 상식. > 은퇴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민을 계획하던 분과 지인의 이메일 내용. (0) | 2014.11.03 |
---|---|
역이민의 기로 (0) | 2014.11.03 |
코리안 드림 (0) | 2014.11.03 |
미국, 한국 연금 비교 (0) | 2014.10.27 |
메디케어 (0) | 2014.10.06 |